한인교회 목회가 어려운 이유는 무엇일까요? 그 대안은?
한인교회 목회가 어려운 이유는 무엇일까요? 여러분이 생각하시는 그 문제에 대한 대안은 어떤 것이 있겠습니까?
한인교회 목회가 어려운 이유는 무엇일까요? 여러분이 생각하시는 그 문제에 대한 대안은 어떤 것이 있겠습니까?
There are some serious problems in our church education program. The most serious problem is that our children leave the church as they become college students. What do you think? Pastors and Leaders?
One of the greatest issues in Korean church is EM (English Ministry). Should EM be independent? Speaking from personal experience and wisdom gained from it, the answer is definitely "yes" and "no" — sorry, but read on.
All Korean churches are seeking pastors for children and youth. Many churches are seeking not only pastors, but anyone who is willing to serve. Can we raise and train enough pastors to fill this great need?
2세 교육/목회을 위해 무엇이 필요하십니까? 어떻게 도와드리는 것이 가장 도움이 되겠습니까?
우리 교회의 가장 큰 문제요, 가장 급한 필요가 있습니다. 특별히 작은 교회의 문제 입니다.
12윌 20일 부터 23일 까지 센디에고에서 약 4000명의 청년들이 모여 하나님을 찬양하며 주님의 음성을 듣고 삶의 새로운 부름을 받고자 합니다. 기도 부탁드립니다.
A new program is being launched in Orange County, California, in January 2011, at Springing Fountain CRC. The program is for small churches who are able to send people who are willing to be trained and raised as church school directors.
We had about 3000 attendees of college and young adults and even few high school students and elderly. We had over 500 people volunteer leaders and servants. What a blessed conference. God is always good.
As we saw our recent agenda for '11 Synod, we found many heavy and important issues in our denomination.
Moses Chung has become the new HM director in May. Unfortunately, it soon turned into a confusing situation as Jerry and Sandy were both stepped down. I ask all Korean churches to pray for Moses (and other denominational leaders).
Faith Alive에서 새로운 주일학교 교재가 나왔습니다. WE라고 하는 교재와 DWELL이란 교재가 나왔습니다. 저도 직접 읽어보고 검토을 했습니다. 우리 한인교회에 추천하고 싶습니다.
한 우정 그룹의 영향. 이번 호에선, 사람들이 어떻게 교회가 우정 그룹의 성인들을 더 큰 교회의 생활에 참여할까를 다뤘다.
외상성 뇌손상. 이번 주제에는 외상성 뇌손상으로 인해 삶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와 교회가 어떻게 도움을 주는지에 대해 다루어본다.
만성통증이 개인에게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와 교회들이 어떻게 반응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살펴봅니다.
여름 켐프. 이번 호는 어떻게 여름 켐프들이 장애우들과 함께 켐핑을 하며 환영하는지를 다룹니다.
정신 건강-이번 호는 우리 교회들이 정신 건강 문제들로 살고있는 사람들을 어떻게 환영하고 도와주며 참여할 것인가를 탐구합니다.
상이 용사들. 이번 호는 우리 교회들이 상이 용사들의 은사들을 어떻게 환영하고, 참여하게 하고, 함께할 것임을 탐구합니다.
주택. 이번 호는 장애인이 독립적으로 생활의 재정적인 문제를 포함하여 주택에 대한 자신의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관리하는 방법을 탐구합니다.
이번 호는 장애 배우자가 결혼과 교회와 가족에게 연결에 대한 미치는 영향을 탐구합니다.
CRC 장애 사무처의 30 주년을 기념해, 이번 호는 CRC 와 RCA가 어떻게 특징 장애를 가진 사람들 개인과 교회의 이야기들로 인해 변화되었는지를 주제로 다루었습니다.
이번 호는 인터넷이 장애를 가진 사는 사람들에 대한 연결과 사역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을 창조하는 방법을 탐구합니다.
무엇보다도, 오래 사는 것이 장애의 문제들을 증가시킵니다. 이 문제로 교회가 장애를 가진 노화 성인을 어떻게 수용하고 지원하는 방법을 배웁니다.
이번 호에선 우리는 장애를 갖고 사는 집사, 장로, 목사의 이야기를 들을 수 있습니다.
주제 : 부모가 자신의 자녀가 장애을 갖고 있음을 알때, 많은 사람들은 하나님이 그 아이들를 사랑하도록그들에게 주었다고 생각하지만 슬퍼합니다. 이번 장애물 헐기는 장애를 갖은 아동을 양육함에 중점을 두었습니다.